2009년 9월5일 토요일 오전 10시39분.
아침 7시 대전을 떠나 3시간 반이 걸려 도착한 두문동재.
금대봉을 거쳐 한강 발원지인 검룡소까지 이어질
오늘 산행의 시발점이다.
도심의 가을은 이제 첫 걸음을 내 딛는 중이지만
백두대간의 중심부 중 하나인 해발 1,268m의 두문동재는
이미 가을이 깊어 간다.
산행 초입에 처음으로 내 눈길을 끄는 이 꽃은 벌개미취이다.
우리나라 특산으로 과거에는 경상도,전라도,충청도 등지에
주로 분포하던 이 국화과의 다년생 야생화가
이곳 강원도 고산지대에서도 자주 눈에 띄는 것만 보더라도
우리나라의 기후가 아열대로 접어든다는 얘기가 실감이 간다.
철 지난 동자꽃이 강렬한 원색을 띄며 눈길을 끈다.
주로 6~7월에 피는 이 꽃이 아직 남아 있는 것이 반갑다.
2주전 함백산 산행에서 많이 만난 동자꽃 .
아마 금년에 보는 마지막 동자꽃이리라.
마치 로마 병정들의 투구를 닮은듯한 투구꽃이 이제 제철을 만났다.
통상 9월에 만개하는 이 꽃은 금대봉 정상에 이르는
40여분간의 산행 중 시야를 벗어나는 일이 없을 정도로 지천으로 피어 있었다.
뿌리에 함유된 독성이 야생화 중 가장 강력하다는 이 꽃은
옛날 사약을 만들 때 원료로 사용된 일도 있다 한다.
흔히들 만져 보고 싶은 충동이 가장 크게 느껴지는 꽃이라는
각시취에는 자세히 보면 벌 외에도 여러 곤충들이 꿈틀거린다.
취라는 이름이 붙은 취나물류 답게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 종류이다.
앞에 각시라는 이름이 붙은걸로 봐서는 원래 키가 작은 종류였을듯한데
요즘 눈에 띄는 각시취는 세태를 반영했음인지 키도 많이 커진듯하다.
오전 11시1분.
온갖 종류의 야생화에 심취해 여유로운 산행을 이어가다보니
넓은 평지가 나타난다. 두문동재에서 금대봉 사이에 여러 곳 있는
헬기장 중 한 곳이다. 해발 고도 1,300m를 넘은 고산지대에서
바라 보는 하늘과 구름의 색깔이 너무 선명하다 못해 눈이 부실 지경이다.
2주 전 함백산에서는 보지 못한 잔대가 눈에 띈다.
연한 부분과 뿌리를 식용하는 초롱꽃과인 이 야생화는
한방에서는 뿌리를 사삼이라고 하며 진해·거담·해열·강장·배농제로 사용한다.
금대봉으로 오르는 완만한 경사의 이 숲길은
그야말로 야생화의 터널이다.
이곳은 생태경관 보전지역인고로 이처럼 울타리를 만들어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한다.
오전 11시 18분.
오늘 산행 중 최고점인 금대봉에 도착했다.
산불 감시초소가 있는 정상부에는 수많은 작은 곤충들이 날아 다닌다.
작은 공충들을 피하며 찍은 사진인데도
파란 하늘에 작은 검은 점들이 무수히 나타난다.
북서쪽으로는 하이원 스키장 슬로프가 흉측한 모습으로 보인다.
인간들의 취미를 위해 저 아름다운 산을 저토록 처참한 몰꼴로 만든게
과연 잘한 짓일까?
금대봉을 떠나 검룡소로 향하는 갈림길인 분주령으로 가는 길목에서
오늘 산행 중 처음으로 둥근이질풀을 만난다.
6~7월경 피는 꽃이기에 철 지난 꽃이라 할 수도 있을듯하다.
이질풀 종류 중에서는 가장 잘 생긴 꽃이 둥근이질풀인 것 같다..
이질풀은 이질이나 설사병에 주로 사용한다고 하는데,
둥근이질풀의 추출물이 항암,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어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오전 11시 37분.
금대봉을 지나 약 20여분간은 이와 같은 환상적인 야생화 군락지를 지나게된다.
관광안내도에도 이 부근을 “들꽃숲길”이라는 명칭으로 표기할 정도이다.
오전 11시50분.
지도상에 고목나무샘이라 표기된 곳에 도착했다.
바위 틈으로 맑은 물이 조금씩 흘러 나온다.
옆에 나무로 세워 놓은 “한강발원지”라는 푯말이 세워져 있다.
우리가 흔히들 얘기하는 한강발원지인 ‘검룡소’의 물의
원천 중 하나가 이곳 고목나무샘이다.
금대봉을 지나면서부터 이와 같은 산죽군락이 자주 눈에 띈다.
바람과 함께 하며 가볍게 하늘거리는 모습과
옷깃을 스치며 사스락 거리는 소리가 정겹게 느껴진다.
편백나무,삼나무,잣나무 등 보다는 적게 나오지만
비교적 많은 양의 피톤치드를 내뿜는 전나무 슾길도 지난다.
전나무 숲길로 일반에 널리 알려진 오대산 월정사나
부안 내소사에서 느꼈던 나무 내음보다 이곳이 더 신선한 것도 같다.
제철을 맞은 우리나라 특산인 금강초롱꽃도 이제 봉오리를 맺고
아름다운 모습의 꽃망을 터뜨릴 준비를 하고 있다.
쉽게 만나기 어려운 오이풀도 눈에 띈다.
한국·중국·동부 시베리아·일본 및 캄차카등에 분포하는 장미과의 이 풀은
한방에서 뿌리를 지유(地楡)라고 하며 수렴·해열·설사·이질·지혈·월경과다·
객혈·피부병·상처 및 화상과 열상 등에 사용하는데,
17%의 타닌과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다.
'기본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천 삼악산(三岳山) 호반산행(1) (0) | 2009.09.09 |
---|---|
백두대간 금대봉에서 한강 발원지 검룡소까지(2) (0) | 2009.09.08 |
태안 백화산과 바람아래해수욕장에서 여름의 끝을 놓다(2) (1) | 2009.08.31 |
태안 백화산과 바람아래해수욕장에서 여름의 끝을 놓다(1) (0) | 2009.08.31 |
함백산 야생화와 태백 해바라기를 찾아서(2) (0) | 2009.08.26 |